반응형



 클라우드 사용 하시나요?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나의 자료에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시작된지 생각보다 오래 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클라우드의 장점으로 짧은 시간에 정말 많은 분들이 클라우드 사용자가 되셨고, 역시 많은 회사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너무 많은 클라우드가 같으면서도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도대체 어떤 서비스가 좋을 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대표적인 클라우드 몇 개 정리해보았습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이름: 드랍박스

사이트: https://www.dropbox.com/

제공 용량: 2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한 달 요금 및 년간 단위로 추가 요금을 내고 100GB~500GB 까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안정성 및 다양한 아이폰&패드 앱 및 안드로이드 앱 등과 연동



이름: 원드라이브

사이트: https://www.onedrive.com

제공 용량: 7기가 (무료)

유료서비스: office365 구독 등으로 유료 서비스 이용시 20GB~100GB까지 용량 확장

특징: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오피스 문서들을 보고 열람하기에 다른 서비스와 엄청난 차이가 있을 것 같았으나, 의외로(?) 그런 것이 없다. 윈도우10 부터는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다.



이름: 카피

사이트: https://www.copy.com/home/

제공 용량: 15기가 (무료)

유료서비스: 비즈니스 계정 제공

특징: 후발 주자로 폴더 공유를 통한 용량 확장, 기업들에게도 5명까지는 무료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름: 박스

사이트: https://www.box.com/

제공 용량: 10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추가 금액으로 100GB~무제한까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업로드 용량 제한 (250메가)가 무료 계정에 적용됩니다. 드랍박스까지는 아니지만, 많은 앱이 Box.com으로 바로 문서 등 자료를 올릴 수 있도록 기능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름: 구글 드라이브

사이트: https://drive.google.com

제공 용량: 15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추가 금액으로 100GB~1TB 까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구글 닥스에서 출발한 서비스로 이전 구글 닥스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5기가 용량은 지메일, 구글 닥스, 구글 플러스 포토의 용량을 모두 합쳐서 계산한 것입니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많은 실험을 시도하는 구글 답게 구글 드라이브에서도 재밌고 특이한 기능을 볼 수 있고, 앞으로도 많은 기능이 제공될 것이라 기대됩니다.



이름: 아마존 클라우드

사이트: https://www.amazon.com/clouddrive

제공 용량: 5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추가 금액으로 20GB~1TB 까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킨들 기기나 킨들 프로그램 등이 있다면, my send-to-kindle 기능이 제공하는 추가 5기가로 용량 계산이 총 10기가로 잡힙니다. 아마존이 최근 공격적인 웹서비스를 하고 있는 데요, 이에 맞추어서 아마존 클라우드도 앞으로 많은 변화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름: 바이두

사이트: https://pan.baidu.com

제공 용량: 2테라 (무료)

유료 서비스: 추가 금액으로 추가로 용량 확장 가능

특징: 중국 거대 인터넷 회사인 바이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바이두 외에도 텐센트 등 중국 회사들이 공격적으로 대용량 클라우드 용량을 제공하며 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형세입니다. 대용량을 제공해 주는 것은 상당히 좋은 점이나, 사이트 전체가 중국어로 되어 있다는 것 등 이 서비스를 활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름: 아이클라우드

사이트: https://www.icloud.com/

제공 용량: 5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연간 사용료 지불로 10GB~50GB 까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애플 기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최고의 서비스입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의 앱과 설정을 완벽하게 백업할 수 있고, 이것 외에도 메모, 일정 등 모든 것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애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는 극히 제한적인 앱이 아이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애플 기기가 없다면, 이 서비스 활용에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름: 네이버 엔 드라이브

사이트: http://ndrive.naver.com

제공 용량: 30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월별 또는 연간 금액으로 100GB 추가 가능

특징: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네이버 앱들과 연동은 당연히 자유롭게 됩니다. 문서 뷰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름: 티 클라우드

사이트: http://www.tcloud.co.kr

제공 용량: 10기가 (무료) - SKT회원에게는 20기가 추가 제공

유료 서비스: 월별 추가 금액으로 100GB 추가 용량 가능

특징: 통신사 SK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본사 회원에게는 무료로 추가 용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통신사를 옮기면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 받기 어렵습니다.



이름: 유 클라우드

사이트: http://www.ucloud.com

제공 용량: 50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비즈니스 계정 가능

특징: 통신사 K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름: 유플러스 박스

사이트: http://www.uplusbox.co.kr

제공 용량: 10기가 (무료)

유료 서비스: 추가 금액으로 100GB 추가 용량 확장 가능

특징: 통신사 LGU+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끝으로


 위에 언급된 것 외에도 많은 회사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자신의 자료를 저장하고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로든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장점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자료를 다른 회사가 관리하게 하는 것은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은 회사가 클라우드 서비스에 뛰어드는 것을 보면, 물론 고객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도 있지만, 다른 부면이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자신의 자료에 대한 보안과 관리 책임은 항상 자신에게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할 때에도 항상 이 점을 염두에 두시고, 편안한 클라우드 생활을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